본문 바로가기
AI 부업

애드센스 승인 실패 후 최적화 전략

by nuborn 2025. 3. 25.

애드센스 승인 실패 후, 승인을 위한 최적화 전략에 향하여 글 개선 방향을 솔직히 정리해 봅니다. “가치 없는 콘텐츠”라는 피드백을 처음 받았을 때, 마음이 참 무거웠습니다. 블로그 글을 정성껏 작성했는데, 어디서 문제가 되었을까? 저는 다시 한번 제 블로그를 돌아보고, 방향을 점검하며 재도전하기로 했습니다. 이 글은 그 과정과 전략을 담은 저의 기록이자, 비슷한 상황에 계신 분들을 위해 글쓰기 방향을 정리합니다.

 

티스토리 애드센스 승인 실패 후 바꾼 것 5가지
1차 실패부터 전략 정리까지 – 애드센스 재도전의 모든 것

1. "가치 없는 콘텐츠"라는 피드백

올 3.1절 연휴 때, 각을 잡고 블로그 글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3월 15일까지 20개 글을 작성하지만, 기다렸던 구글 결과는 "가치 없는 콘텐츠"라는 이메일을 받았습니다. 주제가 "AI 부업"이다 보니, 더 이상 쓸 글도 바닥이 나서 내린 결론은 내가 너무 무겁고 인기 없는 글을 썼다는 생각과 함께, 카테고리 선정을 잘 못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몇몇 전문가들은 글 5개를 추가로 쓰고 다시 재신청을 해보라고 하지만, 저는 저의 글을 전체적으로 수정을 했습니다. 

 

2. 나의 경험을 돌아보며

이번 티스토리 애드센스 신청은 저에게 단순한 '심사 과정'이 아니라, 제 콘텐츠와 운영 철학을 되짚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저는 20개의 글을 작성하고, 다시 보완하고, 추가로 5개의 글을 더 작성하면서 '단순히 양이 아닌 질'에 대해 깊이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작성한 글들은 겉보기에 정리되어 보였지만, 실제로는 ‘나만의 경험담’이 부족했고, 독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구체적인 설명이 빠져 있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후에는 ‘내가 왜 이 내용을 쓰는지’, ‘이 정보가 독자에게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를 중심으로 하나씩 스토리 라인을 하나하나 수정했습니다. 

3. 피드백 분석 - 왜 거절되었을까?

구글 애드센스 피드백이 "가치 없는 콘텐츠입니다"의 의미는 단순합니다.

(1) 주요 문제 원인

- 글의 정보가 나열형 위주임
- 주제가 살짝 겹치는 경향이 있음
- 초보자가 보기에 이해하기 쉬운 글이 아님
- 실전에 이용하기에는 좀 부족한 글임

👉 저는 이 중에서 나열형 정보 위주가 문제가 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한 번쯤 "애드센스 계정이 승인되지 않았습니다"를 방문해 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4. 글 수정은 이렇게 진행

- 독자가 읽고 이해하기 쉽고, 도움이 되는 글로 정리했습니다.

- 복잡했던 글의 Flow를 Gamma AI에서 작성하여 정리함으로써, 핵심적인 내용을 구조화하였습니다. 복잡한 텍스트 위주의 글을 시각적으로 작성하여 독자의 입장에서 한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재정리하였습니다. 

- 단계별 체크리스트 등의 구조도 삽입했습니다.

- 내부 링크 및 외부 링크의 글에서 "여기 클릭"이라는 텍스트 대신, 해당 글의 제목을 텍스트로 사용하여 링크를 구성했습니다.


5. "카더라" 통신에서 벗어나자!

많은 블로그 전문가들은 "AI 글 그대로 복붙해도 승인된다", "HTML 버전으로 올리면 끝난다"는 말이 많지만, 저는 그 방식이 과연 내 블로그 승인에 도움이 될까?"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렇게 했습니다.
☞ 내가 직접 경험하고, 쓴 글로
☞ 일상에서 공감되는 주제로

☞ 방문자에게 실제 도움이 되는 
☞ 애드센스 블로그에 초점을


6. 나만의 승인 전략

 

🌱 현재 글 25개 글 작성 완료(기존 글 20개 + 추가 글 5개)

🌱 내 경험에 사례 중심 서술
🌱 AI에게 주제와 소제목, 그리고 글의 개요만 써달라고 하고, 내 언어로 재작성

🌱 내부/외부 링크 구성 시, 글 제목을 그대로 링크로 활용하여 사용자가 바로 알 수 있도록 작성


7. 글 발행 후 해야 할 일 

크롤링 & 인덱싱

애드센스 승인을 받기 위해서는 글 발행 후, 바로 구글 검색엔진에 노출되도록 하는 작업이 매우 중요합니다. 내 글이 구글 검색 결과에 뜨도록 하기 위해서는 "크롤링(crawling)과 인덱싱(indexing)"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SEO 최적화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 크롤링(Crawling)

크롤링은 웹 크롤러가 웹페이지의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입니다. 보통 이 작업은 사이트맵에서 시작되기 때문에, 구글서치콘솔에 사이트맵을 등록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크롤러는 단순히 정보만 수집하는 것이 아니라, 웹사이트의 문제점, 링크 상태, 변경사항까지도 함께 파악해 주는 기능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작업입니다.

 

저의 경우는 이미지의 용량이 커서 Webp로 변환하여 다시 올린 후, 아래 사이트에서 체크를 해보니, 로딩 시간이 정상으로 돌아왔습니다. 

아래 두 사이트에서 체크했습니다.
👉 https://squoosh.app/ 
👉 https://pagespeed.web.dev/

참고로, 내가 삽입한 이미지를  크롤러가 인식하지 못하므로, SEO 최적화를 위해 이미지에는 alt 텍스트(대체 텍스트)를 꼭 넣어야 합니다.
👉 티스토리에서는 이미지 삽입 후, 톱니바퀴 아이콘을 눌러 이미지 설명 태그를 입력할 수 있어요.

📌 인덱싱(Indexing)

인덱싱이란, 내 웹사이트나 내 글이 "구글 검색 엔진에 등록되어 노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되었는가?를 의미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구글은 자동으로 인덱싱하지만,

👉 페이지 생성 직후

👉 설정 문제 발생 시

👉 콘텐츠 양이 적거나 구조가 명확하지 않을 때

자동 인덱싱이 '지연'되기도 합니다. 이럴 때는 구글서치콘솔에서 URL을 등록 요청하면 보통 2~3일 이내에 색인이 완료됩니다. 만일 인덱싱이 계속되지 않는다면, 아래와 두 가지를 해보시면 됩니다.

👉 꾸준히 글 발행을 해봅니다.

👉 내 블로그에 유입되는 트래픽을 증가시키기 위해 SNS나 네이버 등에서 해당 글이 유입되도록 해보십시오. 

 

📌 구글서치콘솔 활용하기 - 실전 등록 팁

먼저, 구글 서치콘솔에 로그인을 한 다음, 'URL 검사'에서 내가 발행한 글 주소를 붙여 넣어 색인요청을 합니다. 다음은 사이트맵 등록으로,  [내 사이트 주소]/sitemap.xml 형태로 등록합니다.

👉 티스토리 블로그의 경우:
[플러그인> 사이트맵] 기능을 활용하여 sitemap.xml 자동 생성을 한 다음, 이 주소를 구글서치콘솔에 등록하면 완료됩니다. 설정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서치콘솔에 연결할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2. 블로그 등록, 사이트맵 제출을 위해 권한 요청으로 '허용'을 클릭
3. "적용" 버튼을 누르면 완료

티스토리 블로그의 사이트맵 생성 위치
티스토리 블로그의 사이트맵 기능을 활용하여 사이트맵 생성 후 구글서치콘솔에 등록 위치


8. 마무리하면서


애드센스 승인은 단지 글 개수와 길이만의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내 블로그가 진짜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가?’이 질문을 기준으로 다시 방향을 잡았습니다.

그리고 저는 이런 생각도 들었습니다.내 글이 일차적으로 누군가에게 실제 도움이 되어야, 그로 인해 자연스럽게 트래픽이 늘어나고, 그때야 비로소 광고주도 ‘광고하고 싶은 블로그’라고 느끼지 않을까? 하는 인사이트였습니다. 이건 단순한 승인 전략을 넘어서, 블로그 운영 철학으로도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이번에 다시 한 번 신청해보려 합니다. 이 글이 저처럼 애드센스를 준비 중인 분들에게 작은 참고가 되기를 바랍니다. 저는 곧 승인 소식으로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 도움이 되는 다른 글: 애드센스 승인 후 반드시 해야 할 5가지